쑥쑥 크자 우리 아가! 20개월 설이맘이 알려주는 키 성장 A to Z ✨
안녕하세요! 20개월 설이 키 재는 재미에 푹 빠진 설이맘이에요 👋 다들 우리 아가들 얼마나 클지, 어떻게 하면 더 잘 클지 매일매일 궁금하고 신경 쓰이시죠? 저도 그래요! 그래서 오늘은 아기 키 성장에 대한 모든 것! 궁금증을 싹 다 풀어줄 글을 준비했어요.
아기 키, 타고나는 걸까요 만들어지는 걸까요?
음... 둘 다라고 말씀드릴 수 있어요! 아기 키는 유전적인 요인이 정말 크게 작용해요. 부모님 두 분의 키가 크면 아기도 클 확률이 높고, 작으면 작을 확률이 높죠. 연구 결과에 따르면 키의 상당 부분은 유전의 영향이라고 해요. 부모님 두 분의 유전자가 합쳐져서 아이의 키 잠재력을 결정하게 되는 거죠.
특히 아빠 키와 아들 키, 엄마 키와 딸 키 사이에 좀 더 강한 연관성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, 사실 아기의 최종 키는 엄마 아빠 키 모두에게 영향을 받는다고 보는 게 맞아요. 두 분의 유전자가 만나서 아이의 성장 가능성을 결정하는 거니까요.
하지만 나머지 부분은 후천적인 노력으로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는 거! 영양 상태, 잠자는 습관, 운동, 그리고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자라는 환경 같은 것들이 키 성장에 엄청 중요한 역할을 해요. 그러니까 타고난 것도 중요하지만, 우리가 어떻게 도와주느냐에 따라 우리 아가 키가 달라질 수 있다는 거예요!
우리 아가 키, 평균은 어느 정도일까요? (표준 성장 도표 활용법!)
우리 아가가 또래에 비해 잘 크고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'표준 성장 도표'를 참고해보시는 게 좋아요. 질병관리청이나 소아청소년과 병원 홈페이지 같은 데 가면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.
이 도표는 우리나라 아기들의 평균 키와 몸무게를 개월수별로 쭉 정리해 놓은 거예요. 우리 아가 키를 도표에 표시해 보면 백분위(%)로 나타나는데, 예를 들어 중간이면 많은 아가들 중에 딱 중간이라는 뜻이에요. 상위 부분이면 많은 아가들 중에 그만큼 크다는 거고요.
아래는 이해를 돕기 위한 좀 더 자세한 표준 성장 도표 예시예요. 우리 아가 개월수에 맞춰서 확인해보세요! 더 정확하고 자세한 내용은 질병관리청 자료를 참고해 주세요!!
연령 (개월) | 성별 | 평균 키 (cm) | 평균 몸무게 (kg) |
출생 | 남아 | 50.8 | 3.40 |
출생 | 여아 | 50.1 | 3.30 |
1 | 남아 | 54.7 | 4.30 |
1 | 여아 | 53.2 | 4.00 |
2 | 남아 | 58.4 | 5.20 |
2 | 여아 | 56.8 | 4.80 |
3 | 남아 | 61.4 | 6.00 |
3 | 여아 | 59.8 | 5.40 |
4 | 남아 | 63.9 | 6.70 |
4 | 여아 | 62.1 | 6.10 |
5 | 남아 | 65.9 | 7.20 |
5 | 여아 | 64.0 | 6.60 |
6 | 남아 | 67.6 | 7.70 |
6 | 여아 | 65.7 | 7.10 |
9 | 남아 | 71.5 | 8.60 |
9 | 여아 | 69.6 | 7.90 |
12 | 남아 | 75.7 | 9.60 |
12 | 여아 | 74.0 | 8.90 |
15 | 남아 | 78.4 | 10.30 |
15 | 여아 | 76.8 | 9.60 |
18 | 남아 | 80.7 | 10.90 |
18 | 여아 | 79.2 | 10.20 |
21 | 남아 | 82.7 | 11.50 |
21 | 여아 | 81.2 | 10.80 |
24 | 남아 | 87.1 | 12.30 |
24 | 여아 | 85.7 | 11.70 |
위 표는 참고용이며, 정확한 수치는 질병관리청 표준 성장도표를 확인해 주세요..
💡 여기서 잠깐! 이! 도표는 '평균'을 보여주는 거지 '정답'은 아니에요! 우리 아가가 평균보다 조금 작거나 크다고 해서 너무 걱정하거나 스트레스받을 필요는 전혀 없어요. 중요한 건 우리 아가만의 성장 속도에 맞춰 꾸준히 잘 크고 있느냐는 거예요. 정기적으로 키와 몸무게를 재서 도표에 표시해 보면서 잘 성장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하면 딱 좋아요! 갑자기 성장이 멈추거나 너무 느려진다면 그때 전문가와 상담해 보시는 게 좋겠죠?
잘 먹는 거 vs. 잘 자는 거, 키 성장에 뭐가 더 중요해요?
이거 진짜 엄마들 사이에서 끝없는 논쟁거리잖아요? ㅋㅋㅋ 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둘 다 미친 듯이 중요해요!
잠:우리 몸에서 키를 크게 하는 '성장호르몬'은 잠자는 동안에 가장 많이 나와요. 특히 깊은 잠을 잘 때 뿜뿜 분비되죠. 잠든 후 깊은 수면 단계에서 제일 활발하게 나온다고 해요. 그러니까 충분한 시간 동안 방해받지 않고 푹~ 자는 게 진짜 중요해요! 규칙적인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게 좋겠죠?
영양:잠을 아무리 잘 자도 성장할 재료가 없으면 키가 클 수 없잖아요? 단백질은 우리 몸을 만드는 기본 재료고,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칼슘과 비타민 D도 꼭 필요해요. 우유, 요거트, 치즈 같은 유제품이나 콩, 두부, 살코기, 생선, 계란 같은 단백질 풍부한 음식들을 골고루 잘 먹이는 게 중요해요.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채소나 과일도 당연히 잘 챙겨 먹여야 하고요! 편식 없이 균형 잡힌 식단이 키 성장의 기본 중의 기본이에요.
그러니까 잘 먹는 것만큼 잘 자는 것도 중요하고, 잘 자는 것만큼 잘 먹는 것도 중요해요! 둘 다 놓치지 말자고요!
키 크는 영양제, 효과 있을까요?
이거 진짜 솔깃한 이야기잖아요? 키 크는 영양제! 근데 솔직히 말씀드리면, 병원에서 의사 선생님이 처방해 주는 성장호르몬 주사 말고는 키를 직접적으로 확! 키우는 효과가 과학적으로 확실히 입증된 건 거의 없다고 보는 게 맞아요.
시중에 파는 '키 성장 영양제' 중에는 효과가 불분명하거나 과장 광고인 경우가 많대요. 예를 들어 어떤 성분은 먹으면 소화 과정에서 다 분해돼서 몸에 흡수되지도 않는다고 하더라고요.
만약 우리 아가가 특정 영양소가 부족하다는 진단을 받았다면 의사 선생님과 상담해서 필요한 영양제 (예: 칼슘제, 비타민 D)를 보충해 주는 건 도움이 될 수 있어요. 하지만 이것도 부족한 걸 채워주는 거지, 이걸 먹는다고 갑자기 키가 쑥쑥 자라는 마법 같은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거! 대부분의 필요한 영양소는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사로 충분히 얻을 수 있으니, 영양제보다는 밥 잘 먹이는 거에 더 신경 쓰는 게 좋겠죠?
작게 태어난 아기 vs. 크게 태어난 아기, 최종 키는 누가 더 클까요?
태어날 때 작았다고 해서 평생 작은 건 절대 아니에요! 작게 태어난 아기들 중에서도 생후 몇 년 안에 또래 평균 키를 따라잡는 경우가 진짜 많아요 (이걸 '따라잡기 성장'이라고 불러요). 반대로 크게 태어난 아기라고 해서 무조건 계속 키가 큰 것도 아니고요.
결국 태어날 때 크기보다는 아기가 가진 유전적인 키 잠재력과 함께, 앞에서 말씀드린 영양, 수면, 건강 관리 같은 후천적인 요인들이 얼마나 잘 뒷받침되느냐에 따라 최종 키가 결정되는 거예요. 그러니까 태어날 때 작았다고 너무 걱정할 필요도 없고, 컸다고 안심할 필요도 없어요. 꾸준히 잘 먹고 잘 자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옆에서 잘 도와주는 게 제일 중요해요!
마무리하며
우리 아가 키 성장, 부모로서 신경 쓰이는 건 당연하지만 너무 숫자에만 연연하지 말자고요! 우리 설이도 그렇고, 모든 아가들은 자기만의 속도로 건강하게 자라고 있으니까요. 맛있는 거 잘 먹이고, 푹 재우고, 신나게 놀아주고, 사랑 듬뿍 주면서 행복하게 자랄 수 있도록 옆에서 응원해 주는 게 최고의 키 성장 비법이라고 생각해요! 😊

'육아 꿀팁&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육아맘 여름 필수템! 아기 냉방병 증상 구분부터 잘 때 옷차림까지 완벽 가이드! (0) | 2025.06.24 |
---|---|
육아맘 필수! 아기 체온 하루 변화 & 열 날 때 대처법 (표로 정리) (8) | 2025.06.23 |
쉬쉬쉬 신호만 보내는데... 아기 배변 훈련 언제 시작할까요? 20개월 아기 시기/방법/꿀팁 (조급함 주의!) (6) | 2025.06.17 |
19개월 아기 반찬 고민 끝! 소고기 무우파볶음,무나물 초간단 레시피(유아식) (2) | 2025.06.12 |
우리 아기 기질, 정말 바꿀 수 없을까? 타고난 기질 이해하고 행복 육아하는 꿀팁! (8) | 2025.06.11 |